PC 송출 가이드
카메라(캠코더,DSLR 등)로 촬영하실 때는 PC송출 기능으로 방송을 진행합니다.
방송 프로그램 설정 값 및 주의사항
PC송출로 라이브시 아래 라이브 설정 값을 반드시 따라주세요. 송출 화질은 720p / 1080p 모두 지원됩니다.
OBS 방송 설정 값
프레임
30
인코더
H.264 (X-split은 X.264)
데이터율 제어
CBR 권장
비트레이트
720p: 3000Kbps
1080p: 4000Kbps
키프레임 간격
1초 (설정: 고급)
해상도
720x1280 혹은 1080x1920
위 조건에 맞게 설정해주셔야 라이브가 끊기지 않습니다.
권장 비트레이트를 지켜주세요! 비트레이트의 설정 값을 4,000kbps 이상 설정하는 경우 방송이 끊길 수 있습니다. 720p의 경우 3,000Kbps. 1080p의 경우 4,000Kbps를 권장합니다.
키프레임 간격은 반드시 0(자동)이 아닌 1초로 변경해주세요. 설정을 일반이 아닌 고급으로 선택하셔야 정상적으로 적용됩니다.
PC송출 방법
어드민에서 라이브를 시작합니다.
라이브 등록/관리> 라이브 시작 버튼 클릭하면 라이브 유형 선택 팝업이 나타납니다.
라이브 시작
라이브 시작
클릭 시 라이브 모드 또는 리허설 모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2) 리허설 모드 진행
비공개 모드로 방송이 진행됩니다.
스트림키
발급
버튼을 누르시면 스트림키와 스트림 URL이 생성됩니다.
리허설 진행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네트워크 문제 등), 스트림키 재발급이 가능합니다. 스트림키를 재발급 할 경우, 이전 라이브는 종료 되고 같은 플레이어 내에서 새로고침 해야 라이브를 볼 수 있기 때문에 스트림키 발급은 위급한 상황에서 이용하시는 걸 권장드립니다.
3) 송출 프로그램에 스트림 키, 서버 정보 입력 후 방송 시작
생성된 스트림 키와 스트림 URL은 OBS Studio, X-split 등 프로그램에 값을 넣어서 라이브를 시작하실 수 있습니다.
❶ '설정' 클릭> ❷ '방송' 클릭> ❸ '서버', '스트림키' 입력 > ❹ 확인
스트림키 입력 후 송출 시작하기
4) 리허설 화면
리허설은 라이브 관리툴 좌측 상단/ 플레이어 화면에 TEST 라벨이 표시됩니다. 리허설 모드로 네트워크, 장비 이상 유무 등 필수 점검할 부분을 모두 확인해 보세요.
5) 라이브 전환
우측 상단 라이브 전환
버튼을 눌러서 리허설을 라이브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라이브 전환시 송출 프로그램에 새로운 스트림키를 입력하셔야 합니다. 기존 리허설은 종료처리 됩니다.
6) 라이브 방송 화면
라이브 관리툴 상단바의 색상이 변경되며, TEST 뱃지가 LIVE 뱃지로 전환됩니다.
7) 라이브 종료
라이브관리툴 혹은 라이브 목록에서 라이브 종료
를 눌러 종료한 뒤,
송출 프로그램에서 송출을 중단해주세요.
라이브 종료 주의사항
송출 프로그램 송출 중단 및 어드민에서 라이브 종료를 하지 않는 경우 라이브가 정상적으로 종료되지 않으니 주의해 주세요.
라이브 종료 후
VOD 자동 변환
라이브가 종료되면 영상이 VOD로 자동 변환되며 좌측 메뉴의 '라이브 > VOD 전체 목록'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라이브 영상을 VOD로 변환하는 과정은 1~5분 정도 소요됩니다.
Last updated